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2015년 유엔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17가지 국제적인 최대 공동목표다. “지속가능발전”이라는 개념은 미래세대가 그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반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세대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발전이다. 이는 현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되 미래세대의 가능성을 파괴하지 않고, 인간사회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자유롭게 발전의 기회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.
•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루고, 지역주민과 기업, 행정기관이 구호에 그치지 않고,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실천적인 행동이 필요합니다.
분과 | 영역 | 비전 |
---|---|---|
자연생태 | 깨끗한 물과 위생 | 안전적인 청정수 공급과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 |
깨끗한 에너지 | 자원순환적 친환경 소비의 활성화 | |
기후변화 대응 | 기후변화와 그 효과에 대응하는 지속적인 교육과 실천 | |
해양 생태계 | 수중 자원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용 | |
육상 생태계 | 육지 생태계를 보호, 복원하며 사막화 대응, 토양 오염 및 생물다양성 감소 저지 | |
생활환경 | 빈곤 종식 | 빈곤 해소와 따뜻한 공동체 구현 |
기아 해결 | 식량안보 성취, 영양상태 개선, 친환경 농업으로 지속가능한 농업지원 | |
건강과 복지 | 건강한 삶을 보전하며 복지의 증진 | |
양질의 교육 | 양질의 교육 보장과 평생교육 기회 보장 | |
성평등 | 성평등을 달성하고 여성과 소녀의 사회 참여 확대 | |
사회문화 | 좋은 일자리와 경제성장 | 지속가능한 경제적 성장과 생산적 고용 촉진 |
산업혁신과 사회 기반시설 |
지속가능한 산업화 지원, 혁신육성, 재생가능한 인프라 건설 | |
불평등 완화 | 국가 간 및 국가 내의 불평등 감소,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 구현 | |
지속가능발전 |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|
포괄적이고 안전하며 회복력 있고 살기 좋은 도시 환경 조성 |
책임있는 생산과 소비 | 지속가능한 생산과 자원 효율적인 소비 시스템 구축 | |
평화, 정의 강력한 제도 |
평화롭고 포괄적인 사회 증진 정의에의 접근 보장, 효과적이고 책임있는 제도 구축 |
|
목표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|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행 수단 강화와 글로벌 파트너십 활성화 |